반응형 전체 글1578 UITableView Grouped 스타일의 헤더 안보이게 처리 UITableView를 가지고 화면을 만들다 보니, 여지껏 알지 못했던 여러가지 설정이나 값들이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 테이블뷰의 스타일을 Grouped로 설정을 하고 tableView의 heightForHeaderInSection의 리턴값을 보통 0으로 리턴을 했지만 결과는 원하는 형태가 아니었다. 인터넷을 찾아보니 나와 비슷한 고민을 한 사람들이 있는 듯 하다. heightForHeaderInSection 의 리턴 값을 0이 아닌 CGFloat.leastNormalMagnitude를 반환하도록 하면 헤더의 높이가 없는 상태로 보여진다. Plain모드에서는 해당 사항이 없고 Grouped 스타일에서 해당되는 내용이다. 오랜만에 포스팅을 올린다. 일이 좀 정리가 되면 여러가지 유용한 정보들을 정리해서 올.. 2021. 11. 12. UIImageView 회전 애니메이션 (Swift ver) 통합 자산 총액을 새로고침하는 버튼이 있다. 이 버튼이 눌려질 때 버턴 안에 새로고침 아이콘을 회전시켜 달라는 요구사항. 간단하게 생각해서 transform으로 rotationAngle 로 애니메이션을 구현함. UIView.animate(withDuration: 0.8) { let rotate = CGAffineTransform(rotationAngle: .pi) self.refreshIconView.transform = rotate } completion: { result in let rotate = CGAffineTransform(rotationAngle: .zero) self.refreshIconView.transform = rotate } /// completion에서 iconView의 trans.. 2021. 9. 10. XCode archive distribute content? distribute app 설정 오늘 앱 Archive를 하다가 닥친? 문제. 아카이브 빌드 후 오픈 된 창에서 distribute app이 안나오고 distribute content가 나온다. 이게 뭐야? 난 content는 필요없다. 찾아낸 결과 target Build Settings > Deployment > Skip Install > YES 를 NO로 수정하고 다시 아카이브하면 된다. 끝. 2021. 9. 9. Xcode Provisioning Profile 삭제 참 다양한 이슈가 발생한다. 여튼, 프로젝트 앱의 프로비저닝이 여러개 발행이 되면서 특정 프로비저닝 파일에서 내 단말의 UDID가 누락된 상황, 빌드를 하니 오류가 발생했다. 인터넷 검색을 통해 찾았지만, 내 블로그에도 기록을 해 둔다. cd ~/Library/MobileDevice/Provisioning Profiles/ 폴더로 이동 한다음, 프로비저닝을 다 지운 다음 새로 넣으면 된다. 끝. 2021. 8. 27. UIViewController를 이용한 Bottom Popup만들기 요즘 신규로 앱을 만들거나 리뉴얼을 하는 앱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는 대표적인 앱이 토스 또는 카카오뱅크인듯. 하단에서 스르르 하고 올라오는 바텀팝업(Bottom Popup)이 인기를 끌고 있다. 현재 진행중인 프로젝트에서도 대부분 사용자 선택이나 약관들을 이 팝업을 통해 노출하고 있다. 어제 디자인팀에서 새롭게 추가된 Bottom Popup을 제시했다. 날짜선택 피커뷰를 바텀팝업형태로 제작을 해 달라는 것. 프로젝트팀 다른 멤버가 이미 만들어놓은 바텀팝업을 따라해서 만들었는데 영 이상하길래 그 차이가 뭔가? 했더니 UIViewController의 Transition Type과 Presentation의 차이때문에 그런 것이다. 바텀팝업은 일반적으로 UIViewController에서 원하는 모양대로 만들면 .. 2021. 8. 25. Swift 패턴 이야기- 빌더 패턴(builder) 빌더 패턴은 복잡한 객체의 생성을 도우면서 어떻게 이러한 객체들을 생성하는지에 대한 프로세스를 강제한다. 일반적으로 빌더 패턴에서는 복잡한 타입으로부터 생성 로직을 분리하며, 다른 타입을 추가한다. 빌더 패턴은 타입의 서로 다른 결과물을 생성하는 데 동일한 생성 프로세스를 사용하게 해준다. 빌더 패턴을 구현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 방법은 구체적인 방법으로, 원래의 복잡한 객체를 설정하는 정보를 가진 여러 가지의 빌더 타입을 갖는 방식이다. 두 번째 방법은 모든 설정 가능한 옵션을 기본 값으로 설장하는 단일 빌더 타입을 사용해 빌더 패턴을 구현하며 필요하다면 옵션 값을 변경하는 방식이다. 빌더 패턴 구현 struct BugerOld { var name: String var.. 2021. 7. 21. 이전 1 ··· 25 26 27 28 29 30 31 ··· 26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