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스터 후1575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에 대해 알아보자. 루트 디렉토리 (/) 루트 디렉토리는 마운트되는 리눅스 파일시스템이 있는 디렉토리로, 파일시스템의 바탕을 이루는 중요한 디렉토리이다. 그러나 비교적 크기가 작은 파일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루트 디렉토리의 공간은 크게 설정할 필요는 없다. 다만, 루트 디렉토리에 데이터 디렉토리를 설정하여 많은 데이터들을 저장하려 한다면 디렉토리의 공간을 늘릴 필요가 있다. 부트 디렉토리 (/boot) 부트 디렉토리는 리눅스가 부팅될 때 핵심적인 커널 이미지(vmlinuz)와 부팅 정보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이다. 이곳에는 /etc/lilo.conf에서 지정한 커널 부팅 이미지 파일이 있어 부팅 시 매우 중요한 디렉토리이다. 시스템 설정 파일 디렉토리 (/etc) 시스템 설정 파일 .. 2017. 7. 14. 리눅스 파티션 이해 리눅스 파티션의 이해. 파티션이란 하드디스크를 논리적으로 나눈 구역을 말하며, 하나의 디스크를 여러 개의 파티션으로 나누면 각 파티션마다 각각의 드라이브로 인식된다. 예를 들어 100GB 하드디스크를 50GB씩 두 개의 파티션으로 나누었다면, 50GB짜리 드라이브 C와 D가 생기게 된다. 파티션 정보를 포함하는 파티션 테이블에는 파티션 정보를 4개까지 밖에 저장할 수 없는 제한이 있으며 이 4개의 파티션을 Primary 파티션(주 파티션)이라 부른다. 그러나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여러 개의 파티션을 원하게 되었고, 더 많은 파티션을 가지려고 Logical 파티션이라는 개념이 생겼다. 디스크를 구성하는 4개의 Primary 파티션 가운데 하나만을 Extended파티션으로 쓸 수가 있으며, 이 Extende.. 2017. 7. 13. 리눅스 커널(Kernel) 이야기 커널(Kernel)이란? 리눅스 운영체제에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인 자원을 관리하며 시스템이 원할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해 주는 것을 말한다. 리눅스에서의 커널은 Major Number, Minor Number, Patch Number로 표기한다. 이때 Major Number는 획기적인 변화가 있을 때 변화하게 되고, Patch Number는 총 Patch가 수행된 횟수를 나타낸다. 또한, 리눅스 커널은 Stable 버전(안정화 버전)과 Beta 버전(개발 버전)으로 나누어지는데, Minor Number가 짝수이면 Stable버전이고 홀수이면 Beta버전으로 구분한다. Kernel 2.4.20 위의 커널 버전의 구조를 살펴보면, Major Number는 2, Minor Number는 4, Patch N.. 2017. 7. 13. 컴퓨터 BIOS란? BIOS (Basic Input Output System) 컴퓨터 작동을 원할히 하려면 하드웨어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넣어주어야 하는데, 이 정보를 기억하는 곳을 BIOS라 한다. 바이오스란 Basic Input Output System의 약자로 기본적인 입출력 시스템을 의미하며, 모든 데이터의 기본동작인 입/출력을 제어하는 일종의 프로그램이다. 물론 우리가 흔하게 사용하는 워드나 오피스 프로그램들과는 그 성격이 다르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중간 형태인 펌웨어(Firmware)라고 한다. 결국, 입출력 간의 모든 데이터 즉, 구체적인 정보를 이 BIOS에 알려주는 장치가 CMOS이고, 컴퓨터를 구성하는 각각의 하드웨어 환경을 CMOS에 기록 및 수정하는 작업을 CMOS Setup이라고 한다. 출처 .. 2017. 7. 12. 리눅스(Linux)의 특징 유닉스의 특징 대부분을 포함하는 리눅스, 리눅스만의 특징도 가지고 있다. 리눅스는 완벽한 멀티유저, 멀티태스킹 운영체제. 멀티유저란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같은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이때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미리 허가된 계정이 있어야 하며, 그 계정을 이용하여 컴퓨터의 파일과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각 사용자 자료 파일의 기밀을 유지할 수도 있는데, 이렇게 시스템을 여러 사람이 공유함으로써 그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멀티태스킹이란 여러 개의 태스크(Task)를 동시에 실행하고, 교대로 컴퓨터의 자원을 사용 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뜻하며, 태스크는 운영체제가 제어하는 프로그램의 기본 단위를 의미한다. 리눅스는 신뢰성과 최고의 성능을 보장 유닉스의 장점을 기본적으로 이어 받은 .. 2017. 7. 12. POSIX란? - 리눅스 이야기 POSIX (Portable Operating System Interface for Computer Enviroment) POSIX는 유닉스 운영체제에 기반을 두는 일련의 표준 운영체제 인터페이스이다. 표준화에 관한 필요성은, 컴퓨터를 사용하는 기업들이 다시 코딩하지 않고서도 다른 컴퓨터 회사가 만든 컴퓨터 시스템에서도 운영할 수 있도록, 호환성이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원하는 데에서 기인했다. 유닉스는 제작자와 비교적 무관한, 중립적인 상황에 있었기 때문에 표준 시스템 인터페이스로 선정되었다. 그러나 몇몇 주요 유닉스 버전들은 공통분모에 해당하는 시스템을 개발해야 할 필ㄹ요가 있었다. 비공식적으로, POSIX 내의 각 표준은 POSIX라는 용어 다음에 소수로 표시하도록 정의되었다. 그래서 POSIX... 2017. 7. 12. 이전 1 ··· 240 241 242 243 244 245 246 ··· 26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