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스터 후1578 리눅스의 부팅과정 일반적인 운영체제의 부팅 과정은 다음과 같다. 시스템에 전원이 들어가면 ROM BIOS에 들어 있는 부트로더라는 프로그램이 하드디스크의 첫 번째 트랙의 첫 번째 섹터에 해당하는 MBR(Master Boot Record)에 있는 부팅 관련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MBR에는 부팅 관련 프로그램 외에도 파티션 테이블이 있다. 파티션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주소 -> 파티션의 크기와 위치를 알 수 있다. 부팅 가능한 파티션인지의 관련 정보파티션 타입 : 두자릿수의 ID로 표현하며 파티션이 어떤 용도로 사용될 것인지를 나타내는데, 표준이 아니라서 파일 시스템마다 사용하는 값이 달라질 수 있다. MBR안의 작은 프로그램은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부팅 가능한 운영체제의 부트 섹터로 제어권을 넘기고, 제어권을 넘겨받은.. 2017. 7. 17. 제주도 해장국 '대춘해장국' 내장탕이 끝내 준다. 금요일 저녁 늦게까지 제주시 연동에서 맥주를 마셨다. 다음날 해장국을 먹는다는 부푼 꿈을 안고 술을 많이 마셨다. 은희네해장국을 먹을지, 이번에 연북로에 새로 생긴 대춘해장국집 내장탕을 먹을건지 고민하다 대춘해장국집 내장탕으로 결정을 했다. 아침에 술도 안깨고 잠도 덜 깬 상태에서 철훈이를 깨워 집을 나섰다. 네이버 블로그를 검색해 보니 2014년도 제주 벤처마루에 근무할 때 점심식사 하러 갔던 곳이랑 이름이 같았는데 도착해서 보니 역시나 2호점이었다. 대춘해장국은 연북로(연동에서 북촌)길 을 조금 가다 보면 우측에 장례식장이 보이고 바로 옆에 있다. 주차장도 넓고 이른 아침이지만 손님도 몇몇 있었다. 제주도민 말로는 해장국보다 내장탕이 더 맛있다고 한다. 나의 기억에는 대춘해장국집의 해장국은 좀 빨갛게.. 2017. 7. 15. 팔보채, 8가지 진귀한 재료로 만들어지는 음식 팔보채는 대표적인 중국음식 중 하나이다. 탕수육과 깐풍기, 양장피, 유산슬과 같이 코스 요리를 주문하면 나오는 음식 중 하나인데 나는 사실 어떤 음식인지 머리속에 명확하게 각인 되어 있지는 않았었다. 팔보채라는 음식에 대해 머리속에 자리 잡게 된 계기는 올해 초 처가집 식구들과 집에서 식사를 할 때 이것 저것 주문한 음식 중에 팔보채가 있었는데 따뜻한 소스와 밥을 말아 먹고는 그 맛에 반했다. 그래서 이 음식이 뭐야? 라고 물었더니 '팔보채' 라고 이야기를 해주길래 아~ 이게 그 유명한 팔보채구나 했다. 팔보채는 여덟가지의 보물같은 재료로 만드는 음식이라 해서 '팔보'라고 하며 채는 차이, 즉 채소요리 반찬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해삼, 새우,오징어, 전복 등의 해물을 죽순과 청경채, 양송이 등과 함께 고.. 2017. 7. 14.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에 대해 알아보자. 루트 디렉토리 (/) 루트 디렉토리는 마운트되는 리눅스 파일시스템이 있는 디렉토리로, 파일시스템의 바탕을 이루는 중요한 디렉토리이다. 그러나 비교적 크기가 작은 파일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루트 디렉토리의 공간은 크게 설정할 필요는 없다. 다만, 루트 디렉토리에 데이터 디렉토리를 설정하여 많은 데이터들을 저장하려 한다면 디렉토리의 공간을 늘릴 필요가 있다. 부트 디렉토리 (/boot) 부트 디렉토리는 리눅스가 부팅될 때 핵심적인 커널 이미지(vmlinuz)와 부팅 정보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이다. 이곳에는 /etc/lilo.conf에서 지정한 커널 부팅 이미지 파일이 있어 부팅 시 매우 중요한 디렉토리이다. 시스템 설정 파일 디렉토리 (/etc) 시스템 설정 파일 .. 2017. 7. 14. 리눅스 파티션 이해 리눅스 파티션의 이해. 파티션이란 하드디스크를 논리적으로 나눈 구역을 말하며, 하나의 디스크를 여러 개의 파티션으로 나누면 각 파티션마다 각각의 드라이브로 인식된다. 예를 들어 100GB 하드디스크를 50GB씩 두 개의 파티션으로 나누었다면, 50GB짜리 드라이브 C와 D가 생기게 된다. 파티션 정보를 포함하는 파티션 테이블에는 파티션 정보를 4개까지 밖에 저장할 수 없는 제한이 있으며 이 4개의 파티션을 Primary 파티션(주 파티션)이라 부른다. 그러나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여러 개의 파티션을 원하게 되었고, 더 많은 파티션을 가지려고 Logical 파티션이라는 개념이 생겼다. 디스크를 구성하는 4개의 Primary 파티션 가운데 하나만을 Extended파티션으로 쓸 수가 있으며, 이 Extende.. 2017. 7. 13. 리눅스 커널(Kernel) 이야기 커널(Kernel)이란? 리눅스 운영체제에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인 자원을 관리하며 시스템이 원할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해 주는 것을 말한다. 리눅스에서의 커널은 Major Number, Minor Number, Patch Number로 표기한다. 이때 Major Number는 획기적인 변화가 있을 때 변화하게 되고, Patch Number는 총 Patch가 수행된 횟수를 나타낸다. 또한, 리눅스 커널은 Stable 버전(안정화 버전)과 Beta 버전(개발 버전)으로 나누어지는데, Minor Number가 짝수이면 Stable버전이고 홀수이면 Beta버전으로 구분한다. Kernel 2.4.20 위의 커널 버전의 구조를 살펴보면, Major Number는 2, Minor Number는 4, Patch N.. 2017. 7. 13. 이전 1 ··· 240 241 242 243 244 245 246 ··· 26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