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스터 후1575 객관적 묘사와 주관적 묘사. 하기 내용은 "개발자의 글쓰기" 라는 책에 있는 내용이다. 흥미롭고 유익한 내용이다. 이는 매사에 사리분별을 명확하게 하고 의견을 정확하게 전달할 때 아주 중요한 내용이다. 묘사에는 주관적 묘사와 객관적 묘사가 있다. 예를 들어 길을 잃은 사람에게 길을 알려준다고 할 때 주관적 묘사와 객관적 묘사는 다음과 같이 차이가 난다. 주관적 묘사 : "저기 앞에 큰 사거리에서 오른쪽으로 돌아서 5분쯤 가면 기차역이 보여요" 객관적 묘사 : "두 번째 사거리에서 10시 방향으로 돌아서 300미터 가면 우측에 기차역이 있어요" 다음은 기획자의 주관적 묘사' 에 대한 예시 글 (기획자 욕하는 거 아님) '안녕하세요. 기획팀입니다. 고객과 좀 더 소통하기 위해 홈페이지 라이브 채팅 기능을 추가하려고 합니다. 경쟁사 홈페.. 2020. 7. 15. 장애보고서 양식 개발자의 글쓰기에 있는 장애보고서 양식이다. 혹시 나중에 사용할 일이 있을 때 항목을 참조하기 위해 옮겨 놓는다. 제목: 서버 모듈 변경 문제로 사용자 결제 불가(10 ~ 11시) 항목 내용 장애 내용 사용자 결제 불가(10:00 ~~ 11:00, 1시간) 장애 영향 장애 중 결제 시도 100건 -> 1시간 후 결제 비율 10% (평균 50%) 장애 원인 서버쪽 결제 모듈 변경 시 모듈 인터페이스의 함수를 수정했으나 프런트에서는 기존 함수 호출로 에러 발생 조치 상황 서버쪽의 바뀐 함수를 호출하도록 프런트 코드 수정 조치 결과 결제 기능 정상 작동 핵심 원인 서버쪽과 프런트 쪽 커뮤니케이션 단절 향후 대책 서버, 프런트 팀장이 소통 방법 협의하여 보고 2020. 7. 14. UIView Animation 만들어보기 앱을 만들면서 애니메이션 같은 기능들은 거의 필수적(?)으로 들어가는데 그런 애니메이션에 좀처럼 관심이 가지 않는건 그 내면의 복잡성을 잘 알기에 미리 차단하는것이 아닌가 싶다. 매번 겨우겨우 땜빵식으로 위기를 모면하곤 하는데 주로 구글 검색이나 예제 소스가 모여 있는 사이트에서 도움을 얻는다. 이번에도 요구하는 기능의 애니메이션을 보고 듣고 리소스를 찾던 도중 거의 99% 동일한 형태의 애니메이션을 찾았다. 그런데 너무 복잡스럽다. 이건 내 스타일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고 차근차근 애니메이션의 형태를 떧어보면서 어쩌면 좀더 간단하고 심플하게 구현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 어줍짢게 구현을 시도했다. 애니메이션은 처음에는 돋보기 모습을 한 둥근 원 형태의 버튼에서 왼쪽으로 늘어지면서 펼쳐지는 버튼의 애니.. 2020. 7. 13. 의사결정을 객관적으로 하는 방법 이 이야기는 팀의 성장함에 따라 세가지 주요 프로세스를 추가하는 것에 대한 내용이고 기술적 세부 사항뿐 아니라 행동 기대치를 설정해둘 때 세 가지 프로세스가 모두 가장 잘 동작한다는 이야기를 하는 것이다. 책 "개발7년차, 매니저 1일차" 의 내용 중 두고 두고 읽으면서 참고해야할 내용이라 손쉽게 볼 수 있는 블로그에 옮겨본다. 또한 나의 팀에도 적용을 해보고 싶은 방법이다. 코드리뷰 코드리뷰는 좋든 나쁘든 최신 표준이다. 특정 인원으로 특정 크기의 팀이 꾸려지면, 코드 리뷰는 안정성과 장기적인 코드 품질을 보장하는 유용한 도구가 된다. 하지만 업무를 완수하기 위해서는 프로세스가 간단하고 효율적이기를 바랄 것이다. 게다가 어떤 개발자는 코드 리뷰 과정에서 무례하게 행동하곤 한다. 동료를 비판하거나 비현실.. 2020. 7. 9. 클래스의 구분. 클래스는 그 역할에 따라 세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외부와의 연결 역할을 담당하는 경계 클래스, 내부 처리를 위한 자료를 가지고 있는 엔티티 클래스, 주로 작업 비지니스 로직을 담당하고 있는 제어 클래스가 있다. 경계 클래스(boundary class)는 주로 시스템 외부의 액터와 상호작용하는 클래스로 상룡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UserInterface같은 클래스가 여기에 해당된다. 경계 클래스는 액터와 연결된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각 사용 사례에서 액터는 적어도 하나의 경계 클래스와 대화한다. 경계 클래스는 액터로부터 정보를 수집하여 엔티티 객체나 제어 객체가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바꾼다. 제어 클래스(control class)는 경계 클래스와 엔티티 클래스 사이에 중간.. 2020. 7. 9. 팀장. 하아... 입에서 단내 나는 그 이름 '팀장'. 이게 이렇게 어려운거였구나... 그래서 다들 팀장을 안할려고 하는건가? 몇주동안 같은 생각을 반복하고 있는 것 같다. 머리속은 미궁이다. 소용돌이 치는 이 생각의 끝에 답은 없다. 책을 샀다. 팀장 이 뭐길래? 다 맞는 말이고 다 그럴듯한 말인데 왜 답은 없을까? 여기저기서 터지는 불만, 답 없는 질문들, 소용돌이 속에 앉아 있는 것 같은 현란함. 내가 지금 뭐하고 있는걸까? 두통이 지끈지끈한다. 주위를 서성이고 사소한 소리에 신경이 곤두서고 정리되지 않은 말들을 내뱉고 있다. 뭐가 문제인지도 찾지 못하고 있다. 팀장. 참 어려운 직책이다. 아직은 더 흔들려야 어른이 될려나... 그것도 천번이나 더... 날씨도 더운데 기만 쪽쪽 빨리는 느낌이다 젠장. 20.. 2020. 7. 8. 이전 1 ··· 57 58 59 60 61 62 63 ··· 26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