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pring13

STS(Spring Tool Suite) 또는 이클립스에서 lombok 설정 (macOS기준) STS(Spring Tool Suite) 또는 이클립스에서 lombok 설정 (macOS기준) 스프링 배치 관련해서 자료를 찾아보다 괜찮게 정리가 되어 있는 사이트를 발견했다. 예제를 진행하면서 lombok이라는 걸 사용했다고 해서 나도 설치를 하려고 Gradle이나 관련 사이트에서 찾아서 의존성을 추가하고 했는데 다른 사람들이 lombok설치 포스팅을 써놓은것들이 있었다. 거의 대부분 윈도우 환경에서의 설치 관련 내용이라, 맥에서는 그냥 쓰면 되나 보다 하고 썼는데 예제에서 빨간줄이 쭉쭉 나왔다. 윈도우 환경에서 lombok설정하기 (http://countryxide.tistory.com/16) lombok이 뭔지는 잘 모르겠다. 아직까지. 스프링 부트에서 개발을 할 때 상당부분 코드양과 편의를 제공해.. 2019. 1. 16.
@Resource 어노테이션 @Resource 어노테이션 javax.annotation 패키지에 위치한 @Resource 어노테이션은 자바 6버전 및 JEE 5버전에 추가된 어노테이션. 어플리케이션에서 필요로 하는 자원을 자동 연결할 때 사용하는데 스프링 2.5부터 지원을 했다. 스프링에서의 @Resource 어노테이션은 의존하는 빈 객체를 전달할 때 사용된다. name 속성에 자동으로 연결할 빈 책체의 이름을 입력하면 된다. public class HomeController {@Resource(name = "camera") private Camera camera; private Camera camera4; @Resource(name = "camera4") public void setCamera4(Camera camera4) {th.. 2018. 12. 19.
@Autowired 어노테이션 @Autowired 어노테이션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 패키지에 위치한 @Autowired 어노테이션은 의존 관계를 자동으로 설정할 때 사용된다. @Autowired어노테이션은 타입을 이용하여 의존하는 객체를 삽입해 준다. @Autowired어노테이션은 생성자, 필드, 메서드 세 곳에 적용이 가능하다. 프로퍼티 설정 메서드에 @Autowired 어노테이션을 적용한 예. public class MonitorViewer implements Views {private DisplayStrategy displayStrategy; @Autowired public void setDisplayStrategy(DisplayStrategy displayStrategy.. 2018. 12. 18.
@Required 어노테이션 @Required 어노테이션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 패키지에 위치한 @Required 어노테이션은 필수 프로러티를 명시할 때 사용된다. 필수 프로퍼티를 지정하려면 먼저 프로퍼티 설정 메서드에 @Required 어노테이션을 붙혀야 한다. private int number; @Required publicvoid setNumber(int number) { this.number = number; } 스프링 설정 파일에 RequiredAnnotationBeanPostProcessor클래스를 빈으로 등록해야 스프링이 @Required 어노테이션을 알맞게 처리하게 된다. RequiredAnnotationBeanPostProcessor 클래스를 빈으로 등록하는 .. 2018. 12. 18.
스프링(Spring) 컨테이너 스프링(Spring) 컨테이너 스프링은 객체를 관리하는 컨테이너를 제공, 컨테이너에 객체를 담아두고 필요할때에 컨테이너로부터 객체를 가져와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아마도 싱글톤 패턴과 관련이 있는 듯 하다.) BeanFactory와 ApplicationContext가 컨테이너 역할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 BeanFactory-----------------------ApplicationContext-----------------------WebApplicationContext BeanFactory 인터페이스 org.springframwork.beans.factory.BeanFactory 인터페이스는 빈 객체를 관리하고 각 빈 객체간의 의존관계를 설정해주는 기능을 제공하는 가장 단순한 컨테이너. 구현.. 2018. 12. 17.
AOP(Aspect Oriented Programming)와 스프링(Spring) AOP(Aspect Oriented Programming)와 스프링(Spring)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하다 보면 공통으로 사용되는 기능(로깅, 트랜잭션 관리, 보안 등)이 있는데 이런 공통 관심 사항들을 객체지향기법(상속이나 패턴등)을 사용해서 여러 모듈에 효과적으로 적용하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AOP라는 기법이 도입되었다. 어플리케이션 전반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기능이 많아질수록 그리고 공통 모듈을 사용하는 클래스가 많아 질수록 의존 관계는 점점 복잡해지고 중복되는 문제가 발생. AOP(Aspect Oriented Programming)는 공통의 관심사항을 적용해서 발생하는 의존 관계의 복잡성과 코드 중복을 해소해 주는 프로그래밍 기법. AOP에서는 각 클래스에서 공통 관심 사항을 구현한 모듈에 대한 .. 2018. 12.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