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프로그래밍304

Mybatis & maridb log4jdbc설정 예. 한순간 한순간이 다 학습을 해야하는 순간이 되었다. 갑작스런 입춘 한파로 온 세상이 꽁꽁 얼어붙은 2월 5일. 오전내내 찾아 헤메이다 점심 먹기전 결정적으로(?) 해결을 한 mybatis 쿼리를 콘솔상에 찍는 설정. 별거 아닌데 모르면 참 헤메이는게 자바 스프링의 환경설정인 듯 하다. 우선 스프링부트2.x 프로젝트를 만들고 프로퍼티와 xml을 이용해서 프로젝트 환경 설정을 하고 mybatis를 통해 실행되는 쿼리를 눈으로 확인하기 위해서 몇가지 추가 설정을 하는 예이다. 먼저 의존성 추가. (pom.xml) org.mariadb.jdbc mariadb-java-client provided org.bgee.log4jdbc-log4j2 log4jdbc-log4j2-jdbc4 1.16 다음은 resources.. 2020. 2. 5.
Thymeleaf disabled, checked 사용법. 익숙하지 않음에서 오는 답답함은 개발을 하다 보면 자주 느낌는 감정이다. 오늘 UI작업을 하면서 계속 구글링에 의존하면서 작업을 하고 있다. 계정관리 프로그램에서 권한에 따른 옵션 선택박스의 활성화, 비활성화 방법에 대해 내가 생각했던거(?)와 달리 해결되지도 않는 무수한 글들이 무자비하게 있었다. 결국 해결한 방법은 아~ 와 같은 깨우침이 있어야 가능한가보다. 우슨 html의 select box 를 동적으로 disabled 하기 위해 추가된 코드 그리고 radio 버튼의 checked 바로 바로 응용이 안되는건 이제 머리가 굳어서 그런건지... 자주 찾아보고 사용하고 기록해야 익숙해지지 않을까? 2020. 1. 22.
org.apache.ibatis.binding.BindingException: Invalid bound statement (not found) 이건 꼭 기록을 해야겠다. 지난 금요일 오후부터 월요일 오전까지 단 '한' 글자 때문에 고생한한 것을 생각하면 헛웃음이 나오는 일이다. 구글 검색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오타를 이야기했을 때 에이~ 오타가 어디있어...라고 생각했는데 결국 오타였다. 새로운 자바 프로젝트를 만들고 마이바티스와 JPA를 혼용해서 사용하려고 설정을 하던 중 만나게된 오류. org.apache.ibatis.binding.BindingException: Invalid bound statement (not found) 스프링부트를 사용하면서 설정해야하는 부분들은 다음과 같다. @SpringBootApplication @MapperScan("mi.travel.mapper*") @EntityScan("mi.travel*") public.. 2020. 1. 20.
UITableView cell selectedColor(highlighted) Change 디자인 가이드가 나왔을 때 짐짓 고민을 했더랬다. 예전 모 증권사 프로젝트할 때 앱이 가지고 있는 테마에 따라 셀이 선택되었을 때 반전 컬러를 적용하기 위해서 번거로웠던 기억이 있어 조심스러웠는데 이번에 회사앱에 메뉴가 들어가면서 메뉴 선택시 컬러 변경 가이드가 도착한 것이다. 어떻게 할까 고민하다 묵살하고 default로 가져갔더니 역시나 수정 요청이 왔다. 잠시 고민을 하고 구글링을 하니 손쉽게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그나마 다행스러운 것은 다크모드에 대응을 하지 않아서 다행이다. - (UITableViewCell *)tableView:(UITableView *)tableView cellForRowAtIndexPath:(NSIndexPath *)indexPath { UIView *bgColor.. 2020. 1. 16.
@Enumerated 에 대한 이야기 얼마전 회사에 특성화고 졸업을 앞둔 친구가 세명 들어왔다. 이 아이들을 실습하고 교육을 해서 정규직으로 전환을 해야하는 과제가 생겼다. 각 파트별로 특성이 있는 친구들이라 특색을 살펴보는 것도 재미있는 일이다. 그중 백엔드 파트를 지원한 아이가 코딩한 부분을 보면서 @Enumerated를 사용한 부분을 보게 되었고 Swift나 Objective-C에서 자주 사용하는 방법과 유사해서 기록을 남겨 본다. 아마 그 친구도 내가 지금 읽고 있는 저자의 블로그나 책 같은 곳에서 보고 차용했을 것 같기도 하다. @Enumberated(EnumType.STRING) @Column(nullable = false) private Role role; JPA를 사용하는 domain(@Entity) 부분에 정의한 예. JPA.. 2020. 1. 7.
Thymleaf th:href속성 정의 방법 Thymleaf th:href속성 정의 방법 성가시게하는 것들이 있다. 그것은 익숙하지 않음에서 오는 불편함이다. 따라서 적응해야하는데 그것의 빈도가 높지 않을 때는 쉽지 않은 일이다. 따라서 메모를 해두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헤멜때는 찾기 마련이니까... 기본적으로 th:href속성을 사용해서 링크를 잡는다. 이때 '@{이동할경로}' 를 지정하면 된다. 절대, 상대 경로 모두 지정이 가능하다. 파라미터 정보를 여러개 추가할 때는 다음과 같이 한다. 이런식이라면 다음과 같이 링크가 잡힌다. 글 제목 2019. 12.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