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프로그래밍304

스프링 웹 플로의 상태 유형 일을 하다보면 참 다양한 기술을 다루게 된다. 이번에는 스프링 웹 플로다. 상당히 예전(?) 기술 같은 느낌인데 서비스의 유형에 따라 적절하게 채용하고 응용한다면 효율적으로 서비스를 구축할 수있을 것 같다. 그래서 공부를 시작한다. webFlow에서 상태의 중요성에 대해 앞으로 계속 찾아보게 될 것 같은 이론인데 표로 정리된 내용을 올려두고 지속적으로 읽어보면 좋을 것 같다. 2020. 9. 24.
iOS WKWebView PDF Download Viewer 어쩐지 쉽게 해결이 되었다고 생각이 들긴했지만 구석구석 문제점이 하나씩 나오기도 한다. 이번에는 멀쩡하게 잘 사용하던 pdf링크에 대한 문제다. 일반적으로 서버의 특정 URL을 호출하면 서버에서 파라미터에 맞게 PDF 파일을 읽어 파일을 내려주는 방식인데 WKWebView에서는 pdf자체의 바이너리를 읽어들이는 현상이 나타났다. 따라서 서버에서 내려주는 pdf파일을 단말의 캐시폴더에 저장하고 저장된 파일을 읽어와서 보여주는 방식으로 변경이 필요해서 검색을 하고 WKWebView Interface를 살펴보니 답이 나왔다. WKWebView의 loadData:MIMEType:charaterEncodingName:baseUrl을 이용하고 서버에서 내려주는 파일은 NSURLSession을 이용해서 다운로드 후 .. 2020. 9. 2.
4.8 Design: Sign in with Apple Rejected 세상에나, 이런 사태를 만나게 될 줄은 미처 몰랐다. 그래서 현업 실무 개발자가 계속 모니터링하고 주시해야 이런 상황을 피해갈 수 있을 것이라고 보는데 그게 여의치 않아 이런 상황이 생긴 것으로 판단한다. 어제 심사 대기중에서 심사중으로 바뀌고 얼마되지 않아 바이너리가 거부되었다고 메일을 받게 되었다. ㅠ.ㅠ 번거로운 일이 생겼다. 왜 이런 사항을 강제하는 것일까? 이럴때는 Apple이 나쁘다. 정확하게 사용하는 위치를 스크린샷으로 찍어 보냈다. Apple 로그인을 반드시 넣어야 한다는 이야기다. .지난 4월까지에서 6월까지 유예기간을 두었고 7월부터 업데이트 되는 앱은 반드시 함께 적용을 해야 한다고... 덴장. 하는 수 없이 아침에 출근해서 회의를 소집하고 기획/디자인/웹/앱 회의를 한 후 정책과 방.. 2020. 7. 30.
iOS UIPageControl Customizing of Objective-C 의도하지 않은 기능들에 대해 학습하고 구현하고 하는 일들이 간헐적으로 나타난다. 이것은 주로 원하지 않았던 일을 하게 되는 현상인데 결과를 두고 보면 의외로 괜찮은 현상들 같다. 요즘은 Objective-C 로 구현되는 소스들이 많지는 않지만 Swift로 만들어진 리소스를 보면서 Objective-C로 옮기는 작업들을 하는 것도 이제 제법 익숙해졌다. 하지만 곧 Swift로 넘어가긴 해야할 것 같다. UIPageControl은 비교적 간단하고 손쉽게 페이징을 표시해주는 iOS의 컴포넌트이다. 이 역시 내부적인 구조는 UIView로 만들어진 View객체에 Control기능을 포함하는데 점으로 표시되는 모양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하여 아래 그림과 같이 디자인을 살짝 변경한 UI를 요청받게 되었다. 안드로이.. 2020. 7. 29.
UIView Animation 만들어보기 앱을 만들면서 애니메이션 같은 기능들은 거의 필수적(?)으로 들어가는데 그런 애니메이션에 좀처럼 관심이 가지 않는건 그 내면의 복잡성을 잘 알기에 미리 차단하는것이 아닌가 싶다. 매번 겨우겨우 땜빵식으로 위기를 모면하곤 하는데 주로 구글 검색이나 예제 소스가 모여 있는 사이트에서 도움을 얻는다. 이번에도 요구하는 기능의 애니메이션을 보고 듣고 리소스를 찾던 도중 거의 99% 동일한 형태의 애니메이션을 찾았다. 그런데 너무 복잡스럽다. 이건 내 스타일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고 차근차근 애니메이션의 형태를 떧어보면서 어쩌면 좀더 간단하고 심플하게 구현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 어줍짢게 구현을 시도했다. 애니메이션은 처음에는 돋보기 모습을 한 둥근 원 형태의 버튼에서 왼쪽으로 늘어지면서 펼쳐지는 버튼의 애니.. 2020. 7. 13.
클래스의 구분. 클래스는 그 역할에 따라 세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외부와의 연결 역할을 담당하는 경계 클래스, 내부 처리를 위한 자료를 가지고 있는 엔티티 클래스, 주로 작업 비지니스 로직을 담당하고 있는 제어 클래스가 있다. 경계 클래스(boundary class)는 주로 시스템 외부의 액터와 상호작용하는 클래스로 상룡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UserInterface같은 클래스가 여기에 해당된다. 경계 클래스는 액터와 연결된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각 사용 사례에서 액터는 적어도 하나의 경계 클래스와 대화한다. 경계 클래스는 액터로부터 정보를 수집하여 엔티티 객체나 제어 객체가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바꾼다. 제어 클래스(control class)는 경계 클래스와 엔티티 클래스 사이에 중간.. 2020. 7.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