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Logback2 logback-spring 에 관하여 어제 있었던 일이다. 로그 파일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되고 있어 이상하다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프로젝트를 전달 받은대로 사용한 것이 문제였다. 앱 개발을 하던 내가 자바 스프링부트 프로젝트에 대해 전반적인 지식이 부족한 탓이기도 하다. logback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제공한다기보다는, 앞으로 있을 프로젝트 셋팅에서 잊지 말고 체크해야 하는 포인트에 대해서 간략하게 정리를 하고자 한다. 1. application.yml파일에서 logging으로 설정 가능하다. 더 구체적인 사항들도 있지만, 아래 코드에서 중요한 것은 config: classpath:정의 부분이다. 해당 경로는 프로젝트의 resources/ 하위 디렉토리의 경로를 의미한다. logging: level: root: info org.hibe.. 2024. 2. 22. logback logging pattern 표 logback logging pattern 표 표) 로깅 패턴 패턴 의미 %d 시간(yyyy-MM-dd HH:mm:ss, SSS형태) %date{format} 원하는 형태로 시간 정보 출력 예) %date{yyyy-MM-dd} %logger{length} Logger이름. {length}는 최대 자리수. Length에 따라 로거 이름이 축약됨 %thread 현재 스레드 이름 %-5level 로그 레벨 5는 출력 고정폭 값 %msg 로그 메시지 %n 개행(new line) 처리 별 내용 아니지만 한번쯤 읽어보고 넘어가야할 패턴. 2019. 12. 1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