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인터넷

리눅스 기본 명령어(I)

by Mr-후 2017. 7. 21.
반응형

그진 대부분이 다 명령어들일텐데 딱히 기본 명령어라는 제목이 무색할 듯 하다. 

리눅스나 유닉스 특히, 맥을 사용할 때 터미널 모드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다루는 명령어들은 참 신기하다. 난 그렇게까지는 사용을 하지 않는 스타일이라 세월이다. 


그래도 다양하게 사용되는 명령어들에 대해 정리는 필요하다. 


리눅스 명령어의 특징은 대소문자를 구분하며 여러 명령의 동시 수행이 가능한데 ';' 세미콜론을 사용해서 한 라인에 여러 명령을 넣고 실행할 수 있다.



<접속 종료>


시스템을 빠져나오는 것을 접속 종료라고 하고 프롬프트(터미널) 입력란에 logout, exit 명령을 입력하면 된다. 키보드 단축키로는 ctrl + d 키 를 이용할 수 있다. 


현재 시스템 접속자와 날짜 및 시간을 확인 

> who; date 



명령어 사용 형식 

# 명령어 [옵션] [인수] 


리눅스 명령들은 옵션에 따라 다양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 혹은 '--' 를 붙혀 사용한다. 

또한, 대부분 명령은 옵션을 입력한 다음 하나 이상의 인수(parameter)를 요구하는데 파일 이름 등이 해당한다. 





<date

date 명령은 현재 서버의 날짜와 시간을 확인 및 설정할 때 사용한다. 

리눅스는 새로 부팅을 하거나 재부팅할 때 서버의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에서 시간 정보를 가져와 사용한다. 따라서 CMOS의 시간이 틀리면 date 명령으로 시간 정보를 맞추었다 하더라도 시스템을 재부팅 하면 시간 정보가 틀리게 된다. 이럴 경우 더욱 정확한 시간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clock명령을 사용하낟. 


date 명령어는 오직 root사용자만 사용할 수 있고 date MMDDhhmmYY와 같은 형식을 사용해야 한다. 

MM : 월 

DD : 월 중 일 

hh : 시

mm : 분

CC : 연도의 처음 두 숫자(선택적) 

YY : 연도의 나중 두 숫자(선택적) 

ss : 초(선택적) 


#date [옵션] 


옵션

-l >  ISO-8601 의 날짜 표기 방식에 따라 출력 (ex : 2017-07-21) 

-u > 세계 표준 시각을 알려준다. 

--version : 버전 정보


Last login: Fri Jul 21 11:11:31 on ttys002

younghuui-MacBook-Pro:~ younghumin$ date /help

date: illegal time format

usage: date [-jnRu] [-d dst] [-r seconds] [-t west] [-v[+|-]val[ymwdHMS]] ... 

            [-f fmt date | [[[mm]dd]HH]MM[[cc]yy][.ss]] [+format]

younghuui-MacBook-Pro:~ younghumin$ 



그냥 date /help라로 치니 맥북(유닉스)에서는 자세하게 나온다. 


시간을 변경하는 예 

# date [월/일/시/년] 과 같이 설정 



<who

who는 현재 리눅스 시스템에 접속해 있는 사용자들을 확인. 

계정명, 터미널 정보, 접속시간, 접속한 서버 정보 등을 확인하는데 사용한다. 


younghuui-MacBook-Pro:~ younghumin$ who -help

who: illegal option -- h

Usage: who [-abdHlmpqrsTtu] [file]

who am i



younghuui-MacBook-Pro:~ younghumin$ 


# who [옵션] 

# who am i        > 현재 사용하는 사용자 자신만의 정보를 보여준다.  

# whoami          > 현재 사용하는 사용자의 등록 명만을 보여준다. 



<cal(Calender)>

cal 은 calender의 약자로 그레고리력을 기준으로 달력을 출력 


# cal [옵션] 

-3 > 이전달과 다음 달의 달력을 한꺼번에 보여준다. 

-m > 월요일을 순서로 달력을 출력 / 기본설정은 일요일 순서

-j   > Julian 일자 형식으로 출력(1월 1일부터 산출) 

-y  > 그 해의 전체 달력을 출력한다. 




줄리안(Julian)일자 


줄리안 일자는 1583년 조셉 스캘리저에 의해 발명된 방법으로 7,980년 동안 그 주기가 시작하는 날로부터 특정 일자까지 지난 일수를 말하며, 어떤 날짜와 다른 날짜 간의 차이를 정수로 표현함으로써 계산을 쉽게 하려고 발명되었고, 현재까지도 천문학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7,980년이라는 주기는 몇 가지 전통적인 시간주기(태양, 달, 특별한 로마의 세금주기 등)를 조합하여 공통의 배수를 도출하였다. 줄리안 일자의 주기는 첫 번째 날짜가 기원전 4,713년 1월1일이며, 서기 3,268년 1월22일에 끝나게 되어 있다. 그 이후의 날들은 두 번째 줄리안 일자기간(또는 또다시 시작될 7,890일 주기)의 첫날부터 시작될 것 이다. 2011년 5월 17일의 특정한 시간에 대한 줄리안 일자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2,455,698.672719 


여기서 소수점 앞자리의 수 2,455,698은 줄리안 일자의 시작으로부터 그날까지 지난 날수를 의미하여, 672719는 그날의 시간을 나타낸다. 줄리안 일자라는 명칭이 조셉 스캘리저의 아버지인 줄리어스 캐사르 스캘리저 때문에 붙여진 것인지 율리우스력(Julian calendar) 이후에 붙혀진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일반적으로 말하는 줄리안 일자는 특정한 연도의 시작으로부터 지난 일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미가 와전되었다. 



cal 명령어를 통해 임진왜란이 일어났던 서기 1492년의 달력을 출력. 


younghuui-MacBook-Pro:~ younghumin$ cal 1492

                             1492


        1월                   2월                   3월

일 월 화 수 목 금 토  일 월 화 수 목 금 토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1  2  3  4               1  2  3

 8  9 10 11 12 13 14   5  6  7  8  9 10 11   4  5  6  7  8  9 10

15 16 17 18 19 20 21  12 13 14 15 16 17 18  11 12 13 14 15 16 17

22 23 24 25 26 27 28  19 20 21 22 23 24 25  18 19 20 21 22 23 24

29 30 31              26 27 28 29           25 26 27 28 29 30 31

                                            

        4월                   5월                   6월

일 월 화 수 목 금 토  일 월 화 수 목 금 토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1  2  3  4  5                  1  2

 8  9 10 11 12 13 14   6  7  8  9 10 11 12   3  4  5  6  7  8  9

15 16 17 18 19 20 21  13 14 15 16 17 18 19  10 11 12 13 14 15 16

22 23 24 25 26 27 28  20 21 22 23 24 25 26  17 18 19 20 21 22 23

29 30                 27 28 29 30 31        24 25 26 27 28 29 30

                                            

        7월                   8월                   9월

일 월 화 수 목 금 토  일 월 화 수 목 금 토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1  2  3  4                     1

 8  9 10 11 12 13 14   5  6  7  8  9 10 11   2  3  4  5  6  7  8

15 16 17 18 19 20 21  12 13 14 15 16 17 18   9 10 11 12 13 14 15

22 23 24 25 26 27 28  19 20 21 22 23 24 25  16 17 18 19 20 21 22

29 30 31              26 27 28 29 30 31     23 24 25 26 27 28 29

                                            30

        10월                  11월                  12월

일 월 화 수 목 금 토  일 월 화 수 목 금 토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1  2  3                     1

 7  8  9 10 11 12 13   4  5  6  7  8  9 10   2  3  4  5  6  7  8

14 15 16 17 18 19 20  11 12 13 14 15 16 17   9 10 11 12 13 14 15

21 22 23 24 25 26 27  18 19 20 21 22 23 24  16 17 18 19 20 21 22

28 29 30 31           25 26 27 28 29 30     23 24 25 26 27 28 29

                                            30 31





<man(Manual)>

리눅스에는 man 메뉴를 통해서 도움말을 제공하는 강력한 기능이 있다. 도움말은 /usr/share/man 디렉토리 섹션별로 정리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은 구성을 하고 있다. 


  • 명령어의 이름(Name)
  • 개요(Synopsis) 
  • 모든 옵션의 목록과 정의 
  • 환경(Environment)과 매개변수(Parameter)등 

help나 info등도 있다. 

# [명령어] --help 
# info [명령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