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인터넷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

by Mr-후 2017. 7. 14.
반응형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에 대해 알아보자. 


  1. 루트 디렉토리 (/) 
    루트 디렉토리는 마운트되는 리눅스 파일시스템이 있는 디렉토리로, 파일시스템의 바탕을 이루는 중요한 디렉토리이다. 그러나 비교적 크기가 작은 파일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루트 디렉토리의 공간은 크게 설정할 필요는 없다. 다만, 루트 디렉토리에 데이터 디렉토리를 설정하여 많은 데이터들을 저장하려 한다면 디렉토리의 공간을 늘릴 필요가 있다. 

  2. 부트 디렉토리 (/boot)
    부트 디렉토리는 리눅스가 부팅될 때 핵심적인 커널 이미지(vmlinuz)와 부팅 정보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이다. 이곳에는 /etc/lilo.conf에서 지정한 커널 부팅 이미지 파일이 있어 부팅 시 매우 중요한 디렉토리이다. 

  3. 시스템 설정 파일 디렉토리 (/etc) 
    시스템 설정 파일 디렉토리는 중요한 시스템 환경 설정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이다. sendmail설정 파일, TCP/IP 네트워크 설정 파일, FTP(File Transfer Protocol) 서버 설정 파일 등 네트워크에 관련된 설정 파일들과 사용자 정보 및 암호 정보를 가지는 passwd파일, 파일시스템 테이블 fstab 파일, 보안 파일, 시스템 초기화 파일 등 시스템에 매우 중요한 설정 파일들이 있다. 

  4. 바이너리 디렉토리 (/bin)
    바이너리 디렉토리는 리눅스의 기본적인 실행 명령어들이 있는 디렉토리로, 대부분의 명령을 수행하는데 관여한다. 



  5. 공유 라이브러리 디렉토리 (/lib)
    기존의 윈도우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DLL이라는 파일이 없다는 메시지와 함께 실행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어떤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그 프로그램을 지원해 주는 라이브러리 파일이 없으면 프로그램이 실행되지 않는데, 리눅스에서도 마찬가지다. 공유 라이브러리 디렉토리는 프로그램들이 의존하는 라이브러리 파일들이 있는 중요한 디렉토리이다. 

  6. 사용자 계정 디렉토리 (/home)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생성되는 계정의 위치는 기본적으로 /home 이다. 사요자 계정 디렉토리는 계정을 부여받은 사용자들만이 사용할 수 있는 독립적인 공간으로 작용하는 디렉토리이다. 예를 들어 'zend4u'라는 계정을 추가하면 /home디렉토래 내에 'zend4u'라는 디렉토리가 생성되고, 이 공간은 계정을 가진 'zend4u'외에 다른 사용자들은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공간을 이용하여 홈페이지를 등록하거나 파일들을 저장하여 FTP 자료 공간 등으로 운영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 계정에 의한 기본 디렉토리의 위치는 변경할 수 있다. 

  7. 시스템 정보 디렉토리 (/proc) 
    시스템 정보 디렉토리는 커널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가상 파일 시스템으로, 커널의 기능을 제어하는 역할을 가지고 있다. 파일 대부분은 읽기 전용이지만 일부 파일 중에는 쓰기 가능한 파일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파일들에 특정 값을 지정하면 커널의 기능이 변하게 된다. 

  8. 시스템 관리와 관련된 실행 명령어가 있는 디렉토리 (/sbin)
    리눅스에서 실행 명령어가 있는 디렉토리는 각 디렉토리의 성격에 따라 분리되어 있다. /bin 디렉토리에는 시스템을 우녕하는데 기본적인 명령어가 있지만, /sbin 디렉토리에는 시스템 점검 및 복구 명령,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명령, 시스템 초기 및 종료명령, 커널 모듈 등 시스템 관리와 관련된 바이너리 실행 파일들이 있다.
     
  9. 가변 자료 저장 디렉토리 (/var) 
    가변 자료 저장 디렉토리는 시스템 운영 중에 시스템 자료 데이터가 변경되면 변경된 자료들을 저장시키는 디렉토리이다. 주로 시스템 작동 기록들을 저장하며, 네트워크에 관련된 기록 파일들을 저장하고 보안 기록을 남긴다. 메일 서버로 운영할 때는 전송된 메일을 받아 저장하는 임시 디렉토리로 사용한다. /var/log는 시스템에 발생한 일들을 기록하고 저장해 놓은 로그 파일이 있으며, /var/named는 네임 서버 설정 파일들이 들어 있다. 

  10. 사용자 디렉토리 (/usr) 
    사용자 디렉토리는 특별하고 중요한 기능을 가지는 파일들로 구성된 디렉토리이다. /usr/bin에는 압축 파일과 네트워크 실행 파일, 자료 전송 파일 등 실행 파일들이 있고, /usr/sbin에는 주로 네트워크에 관련된 실행 명령어와 실행 데몬들이 있다. /usr/include에는 기본 C라이브러리 헤더 파일과 각종 라이브러리 헤더 파일들이 있으며, /usr/lib는 /lib와 마찬가지로 /usr/bin과 /usr/sbin에 있는 실행 바이너리를 위한 라이브러리들이 있다. 



  11. 디바이스 디렉토리 (/dev) 
    디바이스 디렉토리는 디바이스 드라이버들과 관련된 파일들을 저장하는 디렉토리이다. 이 디렉토리 파일들은 디스크 드라이버, 모뎀, 메모리 등의 시스템 디바이스나 자원에 접근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면 /dev/mouse에 접근함으로써 마우스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읽어 올 수 있는 것 같다. fd로 시작하는 파일 이름들은 Floppy장치를 가리키며, fd0는 첫 번째의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를 의미한다. 
출처 : LINUX CentOS기초에서 활용까지 





반응형

'IT.인터넷'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명령어 [shutdown]과 시스템 종료 절차  (0) 2017.07.18
리눅스의 부팅과정  (0) 2017.07.17
리눅스 파티션 이해  (0) 2017.07.13
리눅스 커널(Kernel) 이야기  (0) 2017.07.13
컴퓨터 BIOS란?  (0) 2017.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