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인터넷

리눅스 커널(Kernel) 이야기

by Mr-후 2017. 7. 13.
반응형

커널(Kernel)이란? 


리눅스 운영체제에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인 자원을 관리하며 시스템이 원할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해 주는 것을 말한다. 리눅스에서의 커널은 Major Number, Minor Number, Patch Number로 표기한다. 


이때 Major Number는 획기적인 변화가 있을 때 변화하게 되고, Patch Number는 총 Patch가 수행된 횟수를 나타낸다. 또한, 리눅스 커널은 Stable 버전(안정화 버전)과 Beta 버전(개발 버전)으로 나누어지는데, Minor Number가 짝수이면 Stable버전이고 홀수이면 Beta버전으로 구분한다. 


Kernel 2.4.20 


위의 커널 버전의 구조를 살펴보면, Major Number는 2, Minor Number는 4, Patch Number는 20이다. 

따라서 Kernel2.4.20은 Minor Number가 짝수인 것으로 보아, Stable버전이며, Patch는 20번을 수행한 2.4.20버전임을 알 수 있다. 


출처 : Linux CentOS기초에서 활용까지




리눅스 커널은 1991년 처음 공개된 이후 1993년부터 배포판이 나오기 시작했다. 최초의 배포판인 MCC Interim리눅스 배포판은 영국 맨체스터 대학의 맨체스터 컴퓨팅 센터(Manchester Comuting Center)에서 내 놓았다. 이후 몇 번의 배포판이 있었지만 설치와 이런 저런 문제점들을 내포하고 있었고 그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내 놓은 배포판이 슬랙웨어 


리눅스 하면 슬랙웨어로 통할 정도로 유명한 배포판이었으나, 슬랙웨어는 개인의 작품이었기에 사용자의 늘어가는 요구 사항이나 기대치를 충족시키지 못하면서 사용자가 점차 줄게 되었으나, 아직도 슬랙웨어는 계속 만들어지고 있다고 한다. 


리눅스의 유명한 배포판은 레드헷(Redhat), 데비안(Debian)등이 있다. 

LDP(Linux Document Project - http://linuxdocs.org/)를 참조하면 자세한 내용을 볼 수 있다. 




컴퓨터의 커널은 운영체제에서 핵심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부분이다. 태스크 전환, 가상 메모리, 시스템 호출, 하드웨어 입출력 등을 처리한다. 커널이 처리하지 않는 것은 디바이스 드라이버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등이 맡는다. 




가상 메모리 처리까지 커널 외부로 꺼내어 가능한 커널의 기능을 줄인 것을 마이크로 커널이라하며, 마이크로 커널 이전의 전통적인 커널을 모노리딕 커널(monolithic kernel)이라 부른다. 



반응형

'IT.인터넷'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  (0) 2017.07.14
리눅스 파티션 이해  (0) 2017.07.13
컴퓨터 BIOS란?  (0) 2017.07.12
리눅스(Linux)의 특징  (0) 2017.07.12
POSIX란? - 리눅스 이야기  (0) 2017.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