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래밍/Spring

@Required 어노테이션

by Mr-후 2018. 12. 18.
반응형

@Required 어노테이션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 패키지에 위치한 @Required 어노테이션은 필수 프로러티를 명시할 때 사용된다.

필수 프로퍼티를 지정하려면 먼저 프로퍼티 설정 메서드에 @Required 어노테이션을 붙혀야 한다. 


private int number; 

@Required
publicvoid setNumber(int number) {

this.number = number;

}


스프링 설정 파일에 RequiredAnnotationBeanPostProcessor클래스를 빈으로 등록해야 스프링이 @Required 어노테이션을 알맞게 처리하게 된다. 


<bean class="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RequiredAnnotationBeanPostProcessor" /> 

<bean id="camera" class="com.zend4u.crawler.Camera">
    <!-- number 프로퍼티에 @Required어노테이션 적용 따라서 number 프로퍼티를 설정하지 않을 경우 예외 발생 --> 
    <property name="number" value="1" />

</bean>


RequiredAnnotationBeanPostProcessor 클래스를 빈으로 등록하는 대신 <context:annotation-config>태그를 사용해도 @Required 어노테이션이 적용된다. 

특별히 특정 기능을 사용하지 않아야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context:annotation-config>태그를 사용하는 것이 설정 파일을 단순하게 만들어준다. 




반응형

'프로그래밍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source 어노테이션  (0) 2018.12.19
@Autowired 어노테이션  (0) 2018.12.18
Bean 범위(scope)  (0) 2018.12.18
스프링(Spring) 컨테이너  (0) 2018.12.17
AOP(Aspect Oriented Programming)와 스프링(Spring)  (0) 2018.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