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는 이야기/책을 읽고

[소유냐 존재냐] 불가지론, 교의, 전지전능, 무신론적, 첩경, 고무적, 세평, 부지되는 이유, 사고부재 등의 용어 정리(1)

by averyone-known 2025. 10. 23.
반응형

지금 읽고 있는 벽돌책. 
읽기 너무 힘들다. 읽어도 뭔 말인지 모르겠고
읽다가 의미가 명확하지 않은 단어나 문장을 포스트 잇에 적으면서 읽었다. 그리고 챗GPT 에게 물었다. 
정리해달라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휴우... 
똑똑한 녀석이다. 

 

🔹 철학·종교 관련 단어

1. 불가지론(不可知論)
→ 인간은 ‘신의 존재’나 ‘절대적인 진리’를 완전히 알 수 없다고 보는 생각.
즉,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우리는 모른다”는 입장.

예: “신이 존재하냐?”는 질문에 “그건 인간이 알 수 없는 영역이야.”

2. 교의(敎義)
→ 종교나 사상에서 ‘절대적으로 옳다고 믿는 가르침’.

예: 기독교의 ‘삼위일체’는 대표적인 교의다.

3. 전지전능(全知全能)
→ 모든 것을 알고, 모든 것을 할 수 있는 능력.
주로 신(神)을 묘사할 때 사용한다.

예: “신은 전지전능한 존재로 묘사된다.”

4. 유신론적(有神論的)
→ 신의 존재를 믿는 태도나 생각.

예: “기독교, 이슬람교는 유신론적 종교다.”

5. 범신론적(汎神論的)
→ 신이 세상 모든 것 속에 깃들어 있다고 보는 사상.
즉, 세상 그 자체가 곧 신이라는 관점.

예: “자연 전체가 신이다”라는 생각은 범신론이다.

6. 무신론적(無神論的)
→ 신의 존재를 믿지 않는 생각.

예: “과학이 모든 걸 설명할 수 있다”는 입장은 무신론적이다.

7. 비신론적 종교(非神論的 宗敎)
→ 신을 믿지 않지만 종교적 가르침은 있는 종교.

예: 불교나 유교는 ‘비신론적 종교’다.


🔹 사회·사상 관련 단어

8. 인간의 물화(物化)
→ 인간이 물건처럼 취급되는 현상.
예를 들어, 돈이나 생산수단처럼 ‘가치’로만 평가받는 인간의 모습.

예: 자본주의 사회에서 노동자가 단순한 도구로 취급되는 것은 인간의 물화다.

9. 서구 수정 사회주의(西歐 修正 社會主義)
→ 마르크스의 사회주의 이론을 그대로 따르지 않고,
서구식으로 ‘민주주의와 시장경제’를 일부 인정하며 수정한 사회주의.

예: 북유럽 복지국가들이 대표적인 서구 수정 사회주의 모델이다.

10. 유물론적(唯物論的)
→ 모든 존재를 ‘물질’로 설명하려는 관점.
정신, 영혼보다 물질이 근본이라고 본다.

예: “인간의 의식도 결국 뇌의 화학작용일 뿐”이라는 생각은 유물론적이다.


🔹 인간심리·윤리 관련 단어

11. 아욕(我慾)
→ 자기중심적인 욕심.
즉, ‘내 것’, ‘나만’이라는 이기적인 욕망.

예: “아욕을 버려야 진정한 자유를 얻는다.”

12. 에고이즘(Egoism)
→ 자기 자신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사고방식.
‘이기주의’와 같은 뜻.

예: “그의 행동은 철저한 에고이즘의 결과다.”


🔹 일반 어휘 및 표현

13. 무력(無力)
→ 힘이 없거나 능력이 없음.

예: “그는 현실의 벽 앞에서 무력했다.”

14. 첩경(捷徑)
→ 지름길, 빠르고 쉬운 방법.

예: “성공에는 첩경이 없다.”

15. 고무적(鼓舞的)
→ 용기나 의욕을 북돋는, 힘이 나는.

예: “그의 말은 매우 고무적이었다.”

16. 세평(世評)을 받게
→ 세상 사람들에게 평가나 평판을 받게 된다는 뜻.

예: “그의 행동은 좋은 세평을 받게 했다.”

17. 부지되는 이유(扶持되는 理由)
→ ‘부지된다’는 건 유지되거나 살아남는다는 뜻.
즉, “그것이 존재하거나 유지되는 이유.”

예: “그 제도가 아직 부지되는 이유는 효용이 있기 때문이다.”

18. 전대미문(前代未聞)
→ 이전 시대에는 들어본 적이 없을 만큼 전례가 없는 일.

예: “이런 전대미문의 사건은 처음이다.”

19. 사고부재(思考不在)
→ 생각이 없음, 깊이 있는 판단이 결여된 상태.

예: “그의 발언은 사고부재의 결과였다.”

20. 무위도식(無爲徒食)
→ 아무 일도 하지 않고 놀면서 먹고사는 것.

예: “무위도식하는 삶은 부끄러운 일이다.”

21. 도외시한 점(度外視한 點)
→ 고려하지 않고 무시한 부분.

예: “그는 중요한 사실을 도외시한 점이 있다.”

반응형